통합 검색
통합 검색
제주특별자치도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해법으로 차세대 친환경 탄소흡수원인 자생 세미맹그로브 숲 조성에 본격 나섰다. 이를 통해 2035년 탄소중립 선도도시 실현을 앞당길 계획이다.
제주도는 21일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에서 ‘탄소중립 실현, 전국 최초 자생맹그로브 미래를 심다’를 주제로 제80회 식목일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4월 5일 식목일을 앞두고 황근 등 탄소흡수 능력이 탁월한 식물을 심어 탄소중립 도시 실현 의지를 다지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행사에는 오영훈 제주도지사, 현기종 도의원, 문정옥 교육청 기획조정실장, 김완근 제주시장, 오순문 서귀포시장과 관련 기관 관계자, 성산읍 주민, 동남초등학교·성산중학교 학생 등 250여 명이 참석해 나무심기 행사를 진행했다. 성산읍 민속보존회의 풍물공연을 시작으로 ▲캘리그라피 퍼포먼스 ▲식목일 기념 스피치 ▲반려식물 전달 ▲미래 숲을 위한 구호 제창 ▲나무심기 요령 교육 및 황근나무 식재 ▲초록미래캡슐 기념식 등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다.
기념 스피치에서 동남초등학교 6학년 학생 손하엘은 “탄소중립은 우리 지구를 위한 필수 목표”라며 숲을 보호하고 나무를 아끼는 작은 실천이 지구를 위한 큰 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혜원 학생 역시 “지구의 아름다움이 사라지지 않도록, 나부터 일회용품과 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숲가꾸기 활동에 적극 참여하겠다”고 결의를 밝혔다.
행사의 핵심은 2035 탄소중립을 상징하는 황근 2,035그루와 순비기나무 96그루를 식재하는 것이었다. 또한, 학생들이 미래 숲에 남긴 메시지와 식목 행사 사진을 담은 ‘초록미래캡슐’을 현장에 묻어 환경 보전의 세대 간 약속을 상징적으로 나타냈다.
오영훈 지사는 인사말을 통해 제주도는 기존 산림보다 5배 이상의 이산화탄소 저장 능력을 가진 세미 맹그로브 숲을 42만 3,500평 규모로 조성해 연간 300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제주도는 2035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설정하며, 이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미래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제주도는 기후변화 대응 전략의 일환으로 2025년부터 2029년까지 5년간 ‘제주 자생 세미맹그로브 숲’ 생태계를 체계적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총 45억 원을 투자해 성산 일원을 포함한 10개 해안 지역에 황근 등 해안식물 140ha를 식재한다. 또한, 국립산림과학원과 협력해 세미맹그로브 연구를 추진하며, 5년 간 5만여 본의 묘목을 확보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산림탄소상쇄사업을 통해 탄소인증과 배출권을 확보하고, 이를 지역 경제 활성화와 연계한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갈 예정이다. 마을 주민과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 생태계 서비스 지불제 등 환경 보전과 경제적 가치가 공존하는 지속 가능한 정책 모델을 구축할 방침이다. <사진출처 제주도정뉴스> 김영아 기자 편집
댓글 0